지진이 일어나는 이유
지진이 일어나는 이유는 크게 자연적인 원인 (자연지진, Natural Earthquakes)과 인위적인 원인 (유발지진, Induced Earthquakes)으로 나뉠 수 있다.
자연지진으로는 판 구조 운동 (Plate Tectonics) (지각판이 충돌 ·이탈·미끄러질 때 발생하는 지진으로 전 세계 지진 대부분이 여기에 해당)과, 화산근처 마그마가 이동하거나 압력을 줄때 발생하는 화산 활동 (Volcanic Earthquakes) , 그리고 판 경계가 아닌 판 내부에서 응력이 축적되어 지진이 발생하는 지각 내부의 단층운동 (Intraplate Earthquakes)이 있다.
인위적인 원인(유발지진, Induced Earthquakes)는 지하 자원 채굴 과정에서 땅이 무너지며 발생하는 광산 붕괴로 인한 지진, 대형 댐 건설을 위한 굴착 댐으로 인해 물의 무게가 땅에 압력을 가하면서 생기는 지진, 지하수 또는 석유, 가스 채취시 생기는 지하 압력 변화로 인해서도 단층이 움직이면서 지진이 생길 수 있으며 핵실험 또한 인위적 지진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 지진 원인설명대표 사례>
판 구조 운동 | 판 경계에서 발생하는 주요 지진 원인 | 일본, 인도네시아, 남미 서부 |
화산 활동 | 마그마 이동이나 화산 폭발과 관련 | 하와이, 아이슬란드, 백두산 |
단층운동 | 판 내부 단층에서 발생 | 경주 지진, 뉴마드리드 단층 |
유발지진 | 인간 활동이 원인이 되는 지진 | 포항 지진, 핵실험, 대형 댐 주 |
지진 측정 방법
지진을 측정하는 방법은 ‘어디서, 얼마나 강하게, 어떻게 흔들렸는지’를 알아내는 것이다.
크게 지진의 ‘크기’ = 규모 (Magnitude)와 지진의 ‘세기’ = 진도 (Intensity)로 측정한다.
대표 지진 규모 측정법은 초기에는 미국 지질학자 리히터가 만든 방식으로 리히터 규모 (Richter scale)인데 진원의 깊이, 거리 등 제한점이 있어 요즘은 잘 안쓰인다. 현재 가장 널리 쓰이는 공식적인 지진 크기 측정법은 모멘트 규모 (Moment Magnitude Scale, Mw)인데 단층이 얼마나 움직였는지, 암석의 강도, 면적 등을 종합적으로 계산한다.
지진의 "규모(Magnitude)"는 객관적 에너지 양이라면, "진도(Intensity)"는 지표면에서 느끼는 흔들림의 정도예요. 즉, 사람과 건물 입장에서 얼마나 흔들렸나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진도 척도는 MMI (Modified Mercalli Intensity) 진도로 사람, 건물, 구조물의 반응으로 진도를 나누고 로마 숫자로 I ~ XII 단계로 표기 한다. 한국에서 사용하는 진도 계급 0~10까지의 숫자 등급으로 표기한다
예) 진도 4: 많은 사람이 느끼고 창문이 흔들림, 진도 6: 벽에 균열, 가구 전도, 진도 8 이상: 심각한 구조물 파괴.
지진이 일어났을 때 대피 요령
< 실내에 있을 때는 >
지진이 일어 났을 때는 “엎드리고(Drop) → 몸을 보호하고(Cover) → 붙잡아라(Hold on)”를 기억한다.
- 탁자 아래에 몸을 숨기고 다리 잡기
- 탁자가 없으면, 벽 모서리나 기둥 옆에 쪼그리고 앉아 머리를 팔로 보호
- 창문, 유리, 거울 근처는 피하기
- 떨어질 위험이 있는 가구나 조명 아래에 있지 않기
- 엘리베이터 사용 절대 금지
< 건물 밖에 있을 때는>
- 전봇대, 유리창, 간판, 건물 등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기
- 빈터, 공원, 운동장 등 넓고 탁 트인 공간으로 이동
- 흔들릴 때 뛰거나, 차도로 나오지 않기 (넘어지거나 차량과 충돌 위험)
<자동차 안에 있을 때>
- 도로 가장자리로 정차 후 엔진 끄기
- 차 안에서 머물며 흔들림 멈출 때까지 대기
- 고가도로, 터널, 다리 아래는 피하기
- 흔들림이 멈춘 뒤 주변 상황 확인 후 이동
< 흔들림이 멈춘 후에는>
- 가스, 전기 차단 (가스 누출로 인한 화재 방지)
- 여진에 대비해 신속하게 야외 대피
- 라디오, 휴대폰으로 공식 정보 확인
- 집 안에 사람 있을 경우, 함께 대피 / 구조 요청
- 건물 붕괴 위험 있으면 절대 재진입 금지
## 지진 대비 비상용품 체크리스트##
- 손전등, 라디오, 예비 배터리
- 물, 비상식량, 구급약
- 휴대용 휴지, 담요
- 신분증, 현금, 복사본
- 호루라기, 구급가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