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8 바이브 코딩 (Vibe Coding) - 느낌으로 하는 코딩 바이브 코딩 (Vibe Coding) 전 테슬라 AI 디렉터이자 오픈 AI 공동 창립자인 안드레 카파시(Andrej Karpathy)는 '바이브코딩(Vibe Coding)'이라는 개념을 SNS를 통해 제시했다. 바이브 코딩(Vibe Coding)”이라는 개념은 특정 한 명의 사람이 만든 정식 프로그래밍 언어나 기술 브랜드가 아니고, OpenAI, Replit, GitHub, Google 등 여러 기업과 개발자 커뮤니티가 함께 만들어낸 ‘개념적 흐름(코딩 방식)’이다. 즉, 누가 '만들었다'기보다는 AI 기반 자연어( 사람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말이나 글의 언어 )로 코딩 흐름 전체를 설명하는 새로운 트렌드 이름인 것이다. 이젠 비전문가도 아이디어만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 2025. 4. 22. LA 산불 -지구 온난화 2025년 1월 7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LA(로스앤젤레스)에서 산불. 팔 리 세이즈(Palisades)와 이튼(Eaton) 지역에서 시작되어, 약 23,700에이커의 면적(6개의 산을 포함해 축구장 약 42000개)이 불탔고, 건물 1만 8천여 채가 파손되었으며 , 최소 46명이 사망하였다. 이산화 탄소, 일산화탄소 등이 대량 방출되어 LA의 공기질 지수가 '위험'수준에 도달했다. 이러한 피해를 일으킨 LA산불은 40년 만의 캘리포니아주 최악의 산불, 역사상 최악의 경제적 피해 ( 손실액 약 137조 원)를 입힌 산불로 기록되며 2월 1일이 되어서야 완전히 진화되었다. LA산불 피해가 커진 이유 2024년 여름과 가을 동안 LA지역은 2024년 12월부터 기록적인 고온 현상을 경험했다... 2025. 4. 21. 별이 빛과 열을 내는 이유, 별이 사라진 다면 별이 빛과 열을 내는 이유 원시별은 회전을 하면서 중심축으로 더욱더 수축한다. 이때 별의 안쪽은 수축이 크게 일어나 압력이 높아지고 바깥쪽은 수축이 작게 일어나 압력이 낮아진다. 따라서 대부분의 별은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수축의 결과로 별의 내부의 압력은 점점 커지게 되고 내부 온도는 점점 올라가다가 10,000° C에 이르면 대부분의 수소가 이온화된다. 수소는 수소 핵인 양성자와 그 주위를 도는 전자로 구성되어 있는 가장 가벼운 원소이다. 수소의 이원화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수소 핵 주위를 돌고 있던 전자가 충분한 운동에너지를 얻어, 더는 수소 핵에 의한 전기적 인력에 붙잡히지 않고 자유롭게 공간을 돌아다니게 되는 것을 말한다. 핵으로부터 전자.. 2025. 4. 21. 별의 탄생, 별이 밝기 별 기원전 1200년경 이집트 사람들과 중국 사람들은 별에 대한 그림을 그리고 연구를 시작했다. 그리스 시대에 와서 별을 연구하는 천문학이 과학의 한 분야가 되었다. 천문학은 그리스 어로 '별에 이름을 주다'라는 뜻이다. 그리스 시대 최초의 천문학자는 히파르코스이다. 그는 1,080개의 별의 위치를 기록하고 별들의 밝기에 따라 가장 밝은 별을 1 등성, 가장 어두운 별을 6 등성으로 하여 총 6개의 등급으로 나누었다. 후에 1 등성의 밝기는 6 등성의 약 100배임이 알려졌다. 우주에는 수많은 천체들이 있다. (우주를 이루는 물질을 천체라고 부른다. ) 천체들 중에는 스스로 빛을 내는 것도 있고 그렇지 않는 것도 있다.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를 과학자들은 항성이라고 부르는데 이것.. 2025. 4. 20. 양자, 양자 현상 양자 (Quantum) 란? 양자 (Quantum) 는 에너지의 최소단위를 말한다. 예를 들어 뉴턴을 포함한 고전 물리학자들은 빛의 최소 단위는 '광자' (Photon) 라는 매우 작은 입자라고 생각했다.하지만 19세기 이후 물리학자들은 실험을 통해 빛은 파동의 성질도 갖고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후 물리학자들은 빛이 입자인지 파동인지 두고 논쟁을 벌이기 시작했다. 그러던 중 물리학자 닐스 보어는 빛이 상태가 입자일지 파동일지는 확률적으로 존재하며 관측 전까지는 입자와 파동이 "중첩된 상태 "라고 말했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실험이 있다. 밀폐된 불투명한 상자 속에 고양이와 독가스가 든 병이 들어 있다고 가정했을 때 독가스가 든 병은 50%확률로 깨질 수 있고 깨지지 않을 수.. 2025. 4. 19. 헬륨 풍선 ( 물질의 상태) 헬륨 풍선 - 하늘로 떠오르는 풍선 놀이공원에서 두둥실 떠오르는 풍선을 생각하며 문구점에서 풍선을 사서 입으로 바람을 불어 넣은 풍선은 바닥으로 가라 앉는다. 왜 어떤 풍선은 떠오르고 어떤 풍선은 바닥으로 가라 앉을까? 이 질문에 대답을 하려면 눈에 보이지 않지만 우리 주변에 늘 있는 공기에 대해 먼저 알아야 한다. 허공에 손을 휘두르면 바람이 생겨난다. 이 바람은 우리 주변에 공기가 있다는 증거이다. 손을 휘두르면서 공기가 움직였고, 그 기척을 바람이라는 형태로 느낀거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과 같이 공기 또한 무게를 갖고 있다. 과학자들에 의하면 공기 1l의 무게는 1.25g이다. 일상생활에서 고체, 액체, 기체로 상태 변화하는 물질들은 모두 분자로 구성되어 있다. 분자는 물.. 2025. 4. 17.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