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8

지구 생태계의 큰 기둥 - 산호 산호가 지구를 지키는 이유1. 해양 생물의 집 -생물 다양성의 보고 산호초는 전체 해양 생물의 약 25%가 살아가는 서식지다. (하지만 바다 면적의 1%도 안 된다.) 물고기, 조개, 해조류 등 수많은 생물이 산호를 기반으로 살고 있어서, 산호가 사라지면 이 생물들도 함께 사라지게 된다. 2. 해안 보호 역할산호초는 파도와 해일의 힘을 자연적으로 막아주는 방파제 역할을 한다. 태풍이나 해일이 몰아칠 때 해안 마을을 지켜주는 보호막이 된다. 실제로 산호초가 잘 발달한 지역은 침수 피해가 적다. 3. 의약품의 원천 산호와 산호초에 사는 생물들에서 추출한 물질은 암, 알츠하이머, 항바이러스제 등 다양한 의약품 개발에 쓰이고 있다. 4. 경제적 가치산호초는 관광업, 어업, 레저 산업에 큰 영향을 준다.. 2025. 4. 16.
지진이 일어나는 이유와 대피 요령 지진이 일어나는 이유 지진이 일어나는 이유는 크게 자연적인 원인 (자연지진, Natural Earthquakes)과 인위적인 원인 (유발지진, Induced Earthquakes)으로 나뉠 수 있다. 자연지진으로는 판 구조 운동 (Plate Tectonics) (지각판이 충돌 ·이탈·미끄러질 때 발생하는 지진으로 전 세계 지진 대부분이 여기에 해당)과, 화산근처 마그마가 이동하거나 압력을 줄때 발생하는 화산 활동 (Volcanic Earthquakes) , 그리고 판 경계가 아닌 판 내부에서 응력이 축적되어 지진이 발생하는 지각 내부의 단층운동 (Intraplate Earthquakes)이 있다. 인위적인 원인(유발지진, Induced Earthquakes)는 지.. 2025. 4. 14.
칼 폰 린네(Carl von Linné)이 정의한 종(Species)의 이야기 종(Species) 이란 무엇일까?   칼 폰 린네는 18세기에 스웨덴에서 태어나 식물학자, 의사, 박물학자로, 생물 분류 체계의 근간을 마련한 인물이다.그는 스웨덴 웁살라 대학교(Uppsala University)에서 공부하고, 그곳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식물, 동물, 광물 등을 분류하는 체계를 정립하였다.  그의 대표 저작인 《Systema Naturae》(1735)는 생물 분류학의 시초로 평가된다. 세상의 모든 생물을 체계적으로 분류 는 생물을 분류하면서 “종(Species)”이라는 단위를 가장 기본으로 삼았고, 이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종은 신이 처음 창조한 고정된 단위이다.  “Species tot sunt, quot diversas formas ab initio creavit infinit.. 2025. 4. 13.
극지방 이야기 남극과 북극의 이야기 북극은 끊임없이 움직이는 얼음의 바다다. 북극곰은 그 얼음 위를 유영하며 바다표범을 사냥한다. 순록은 이끼를 찾아 수천 킬로를 이동하며 사냥을 하고 북극여우는 눈덮인 땅속에 먹이를 저장하며 겨울을 버틴다. 포식자들은 기후변화로 점점 줄어드는 얼음 위에서 생존을 위한 투쟁을 이어가고 있다. 북극에는 이누이트 등 원주민이 오래전 부터 살아 왔으며 이끼, 지이류, 작은 관목등 일부 식물이 존재한다. 남극은 육지 위의 얼음 대륙입니다. 혹독한 환경이지만 여름이 오면 수많은 생명이 깨어난다. 극한의 겨울 속에서 알을 품는 아버지 황제 귄펭떼는 번식을 위해 돌아오고 범고래는 전략적인 사냥으로 물개 떼를 공격하며 살아가고 있고 바다 생태계의 기초 , 수많은 동물의 먹.. 2025. 4. 11.
생물 다양성(biodiversity) 생물 다양성(biodiversity)의 중요성     세계적인 생물학자이자 사회생물학의 창시자인 **에드워드 O. 윌슨(Edward O. Wilson)* 은 생물 다양성(biodiversity)의 중요성과 이를 지키기 위한 인간의 노력에 대해 얘기하였다. 그 책이 바로 "윌슨이 들려주는 생물 다양성 이야기" 이다.      지구에 다양한 생물 종이 살고 있다는 건 다양한 유전자를 가진 생물이 많다는 걸 의미한다. ' 유전자 다양성'은 생물이종이 갑작스런 외부 환경 변화에 적응 할 수 있는  힘이다. 같은 생물이라고 하더라도 개체마다 유전 물질이 다르기 때문이다.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라고 불리는 지구에 똑같은 사람이 없는 것과도 같다.     암수가 없이 무성 생식으로 번식하는 아메바, 효모 같은 하.. 2025. 4. 11.
새로운 시작을 응원하며 어떤 스토리로  세상과 나의 연결 고리를 찾을 수 있을지 수없이 고민하며 이 글을 쓰고 있네.    너의 새로운 시작을 화이팅 하며 ...   티 스토리 블로깅이 자꾸 사라지지 말길.. 2025. 4. 8.